출처

https://youtu.be/ocPHZJ3u6e0?si=NXt5zB39haowY8ry

 

1. 교과서 vs 요약서

교과서는 이해 중심. 선형의 정보가 있다.

요약서는 암기 중심. 분산된 점과 같은 정보가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따라가다보면 이해는 쉽지만, 즉시 시험에서 활용하기는 어렵다.

요약서는 시험에서 활용하기 좋지만, 이해가 없으면 금방 까먹는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라는 속담처럼, 선(이해)을 준비한 뒤에 구슬(용어)을 꿰어야 한다.

 

2. 인강 보는 법

강의 들을 때 (출처: 유튜브 화면 캡처)

강사는 이해 + 암기를 모두 설명한다.

강의를 볼 때는 이해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암기할 내용은 교재에 이미 다 적혀있기 때문이다.

암기 내용은 스킵해도 좋다. 강의를 반복 재생하며 강사의 논리를 흡수하자.

 

강의 직후 10분 내로 반드시 강의 내용의 목차를 활자화 한다.

이 강의에서 어떤 것을 얻을 것인가? 집에 가서 무엇에 대해 공부할 것인가?

안 하면 절대 복습 못 한다.

복습 못 하면 다 까먹는다.

 

복습 할 때 (출처: 유튜브 화면 캡처)

복습은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할 내용을 꿰는 것이다.

집에 와서 이걸 해야 한다.

꿰고 나면, 구조화된 지식이 된다.

 

출처

https://youtu.be/eGv5EAMF8OQ?si=N56BvFsdxl1Db1AW

1.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면접관이 듣고 싶은 말을 작성한다.

면접관이 알고 싶은 건 딱 2가지 이다.

1. 경험의 결과 (Result)

2. 어떻게 그 결과를 얻었는가? (How)

 

이 내용을 두괄식으로, 결과중심적으로 작성한다.

 

2. 열정을 단어로 강조하지 않는다.

면접과 자소서는 하나의 맥락이지만, 차이점은 자소서에서는 감정과 태도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소서는 철저히 결과 + 근거 중심적으로 작성한다.

 

숫자로 표현하자.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수치화하자

 

3. Why라는 질문을 5번 이상 물은 다음 작성한다.

작성한 자소서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다음 5가지 질문을 계속 하며 파고 든다.

 

1. 내가 이 경험을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나?

2. 왜 아무 결과도 못 얻었나?

3. 진짜 아무 결과도 못 얻은 게 맞나?

4. 사소한 결과라도 어떻게 내가 얻을 수 있었나?

5. 내가 한 행동들 중에 가장 고객을 만족시켰던 행동이 무엇인가?

 

묻다보면 알맹이만 남는다.

이것만 작성한다.

 

사소한 정보까지 다 주려고 하지 마라.

면접관은 결과와, 결과를 있게 한 핵심 행동만이 궁금하다.

 

출처

출처: https://youtu.be/vge9LQIV1bg?si=Hse1qzuodvmVPK6J

The Triforce Method: 3가지 방법

1. 읽는 속도 자체를 증가시켜라

우리는 표지판을 인식한다. 읽지 않는다.

1) 내부 독백(머리 속에서 따라 읽는 행위)을 하지 않을 것

글을 머리 속으로 따라 읽으면, 그 속도가 소리 내어 읽는 수준으로 제한된다.

한 번에 한 단어만 읽을 수 있게 된다.

 

속독을 하려면, 글을 읽는 것이 아니라 인식해야 한다.

마치 표지판을 보면, 적혀있는 글을 읽기도 전에 뇌는 그 내용을 인식하는 것과 같다.

spreeder

spreeder라는 서비스를 통해 이것을 연습할 수 있다.

spreeder는 글을 단어 단위로 끊어서, 화면 중앙에 빠른 속도로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것을 소리 내어 따라 읽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2) 시각 트래커를 사용할 것

눈 앞에 펜을 두고 움직이며, 시선은 그것을 따라가라. (유튜브 캡쳐)

읽는 속도가 빨라지면 문장을 순서를 놓치는 경우가 생긴다.

눈이 문장을 한 줄씩 차근차근 읽을 수 있도록 연습하자.

 

1. 눈알 굴리기

왼쪽 끝부터 오른쪽 끝까지 천천히 눈알을 움직인다.

오른쪽 끝에 도달하면, 다시 왼쪽 끝으로 가서 반복한다.

 

2. 도구 사용하기

손가락이나 펜을 눈 앞에 두고 움직이며, 1번을 진행한다.

 

3. 적용하기

2번에서 사용한 도구를 활용하여 책을 읽어본다.

도구를 일정한 속도로 문장을 따라 진행시키고, 눈으로 그것을 따라간다.

문장 내에서는 여러 단어를 묶어서 한 번에 인식하는 연습을 하고,

문장과 문장은 차근차근 한 줄씩 넘어간다.

 

2. 파레토 법칙(80:20 법칙)을 적용하라

파레토 법칙 (출처: 뉴스웨이)

소설이나 문학이 아닌, 정보를 얻기 위한 독서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핵심적인 지식의 80%는, 전체 내용의 20%에서 나온다.

 

지금까지의 방법을 통해 속독을 진행하다가,

핵심적인 부분이 나오면 천천히 읽는다.

 

그럼 속독하면 대충 읽는 거 아닌가요?

아니다. 모든 내용을 천천히 읽는 것은, 모든 문장을 형광펜으로 색칠하는 것과 같다.

 

3. 요약하고 통합하라

 

빠르게 읽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속독을 하면 대부분 10초 만에 내용을 까먹는다.

 

기억을 하려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하려면 줄글을 구조적으로 바꿔야 한다.

모든 페이지를 요약하라. (유튜브 캡처)

 

연습하는 방법:

1. 각 챕터마다 몇 개의 문장으로 요약한다.

2. 모든 페이지를 1~2문장으로 요약한다. 아무 내용이 없으면 아무 내용이 없다고 적는다.

 

기대 효과:

1. 어떤 글을 만나더라도 핵심적인 정보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2. 각 챕터와 페이지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복습이 된다. 기억에 남는다.

 

결론: 폐업사실증명원을 발급 받으면 된다. (즉시 가능)

 

조회 가능 항목: "사업자등록번호"로 개업일, 폐업일, 소재지, 업태, 종목 등

조회 방법: 국세증명・사업자등록・세금관련 신청/신고 --> 즉시발급 증명 --> 폐업사실증명 / 홈택스 검색창에 "폐업사실증명" 검색


 

폐업사실증명 선택

폐업사실증명을 선택한다. 검색해도 좋다.

 

빨간 박스를 순서대로 선택

1. 사업자등록번호를 선택한다.

1-1. 사업자등록번호를 선택하면 즉시 개업일자, 폐업일자를 확인할 수 있다.

 

------ 서류가 필요한 경우 ------

2. 사용용도, 제출처를 선택한다. 모두 기타로 해도 무방하다.

3.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다.

폐업사실증명

4. 확인한다.

유래

영국 드라마 'Sherlock'

 

영국 드라마 셜록을 보면 'Mind Palace'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드라마에서 셜록 홈즈 역인 베네딕트 컴버배치는 주변 사람들을 밖으로 다 내쫓은 다음에,

본인 뇌 속의 Mind Palace에 들어가서 이곳저곳을 탐색하면서 기억을 끄집어 낸다.

 

처음에는 좀 웃기는 마임을 하는 정도인데,

나중에는 인셉션 마냥 궁전의 계단을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단서를 찾아헤맨다.

 

드라마를 볼 때는 작품 속 왓슨이 그랬듯 '와 천재다' 하고 말았는데,

놀랍게도 실제로 존재하는 기억의 방법론이라고 한다.

 

시모니데스, 그리스의 철학자

원조는 셜록은 아니고, 시모니데스라는 그리스 철학자라고 한다.

기억의 궁전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시신의 신원을 파악하는 데 사용한 방법이라고 한다.

2500년 전인데 놀랍다.

 

사용법

https://www.youtube.com/watch?v=3vlpQHJ09do

 

실제 구현 방법은 이 유튜브를 보고 어렵지 않게 흉내 낼 수 있다.

5분짜리 영상이지만 요약을 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1. 본인이 거주 중인 집의 구조를 상상한다.

2. 첫 번째 방을 선택하고, 시계 방향 순서대로 큼지막한 가구나 사물을 5개 선택한다. (예: 시계, 옷장, 컴퓨터, 와이파이 공유기, 책장)

3. 각 사물에 외워야 하는 단어를 연결 지어 이미지를 만든다. 역동적이고 자극적일수록 좋다. (첫 번째 단어가 변기라면, 시계를 산산조각 내서 변기에 넣고 물을 내려버리는 장면)

4. 반드시 실제로 배치된 순서대로 연결한다. 이미 알고 있는 사물의 순서를 활용해서 외우는 것이 핵심이다.

5. 다음 주제는 다음 방으로 넘어가서 반복한다.

 

효과

실제로 5분에 25개 단어 정도는 어렵지 않게 기억할 수 있었다.

무작정 머리 글자를 따서 외우는 방법과 다르게, 거의 100% 기억이 나는 게 특징이었다.

 

실제 기억의 궁전 사용자들은 기억하는 것보다, 잊는 것이 더 어렵다고 할 정도이다.

위 방법 말고도 비슷한 형태로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하니, 참고해서 기억력을 쑥쑥 키워보자.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6%B5%EC%88%A0

https://en.wikipedia.org/wiki/Simonides_of_Ceos

https://www.youtube.com/watch?v=3vlpQHJ09d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