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식기 전에 후기를 쓰기로 했다. (출처: 한국경제)

 

 

시간이 없다면

`벼락치기 실기 공부법`만 확인할 것.


앞서

24년 1회 정처기 기사 시험이 끝났다.

 

이번 주에 갑작스러운 일정이 생겨서 공부할 시간이 매우 부족했다.

다행히 필기 때 개념서 전체를 2회독하며 쌓아둔 지식이 남아있었다.

어느 시험이든 다회독과 단권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앞으로의 정처기 시험의 기조가 느껴지는 듯한 회차였는데,

생생한 감각이 떠나기 전에 블로그를 작성하기로 했다.

 

시험 정보

프로그래밍 8문제 + SQL: 2문제

개념: 10문제

 

시험 난이도 & 가채점 결과

쉬움 ~ 보통인 듯하다.

 

넓고 얕게 공부했다면 어려운 시험이었을 것이다.

좁고 깊게 공부했다면 할 만한 시험이다.

 

가채점 결과는 80 ~ 85점이다.

+ 24.06.18) 85점으로 합격.

 

출제 기조

이해 >>> 암기의 출제 기조가 느껴지는 시험이었다.

 

모든 개념 문제의 보기가 주어진 것이 대표적이다. 더 이상 철자를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다. (1문제 정도만 보기가 없었던 것 같다. OSPF.)

특히 LFU・LRU, 서브넷 마스크, 정규화는 개념에 대한 정석적인 이해와 계산이 필요했다.

 

프로그래밍 문제는 기출 풀이로 충분한 대비가 되는 수준이었다.

C언어의 포인터, JAVA의 상속 개념에 대한 탄탄한 이해가 필요했다.

 

프로그래밍 포기하면? 합격할 수 없다.

정처기 말고 다른 기사 자격증을 노려야 한다.

 

공부 과정

필기 (2주)

  1. 수제비 정처기 필기 개념서(2권)를 구입하여 2회독했다.
  2. 매 단원 끝마다 나오는 문제(10년 치 기출이라고 한다.)는 모두 풀었다. 틀린 것은 여러 번 풀었다.

사실 필기는 시험 전날 온라인CBT 기출만 보고 합격하는 사람이 많다.

나의 방법은 다소 과한 측면이 있었지만, 실기 때 다 도움이 되었다.

 

평균 90점을 받았다.

 

실기 (3일)

  1. 수제비 정처기 FINAL 모의고사를 구입하여, 최신 기출 2회분 정도를 풀이하며 감을 잡았다.
    1. 실기 개념서는 필요 없다.
    2. 필기 개념서와 내용이 거의 겹치기도 하고, 실기 개념서 없이도 시험 잘 봤다.
  2. C와 JAVA 문법 지식을 블로그로 공부했다.
  3. C와 JAVA 프로그래밍 기출 문제를 모두 풀었다. (2020년 이후)
  4. 본격적인 개념 공부에 앞서 SQL과 데이터베이스 단원을 1회독 했다. 중요하니까.
    1. 이후 나머지 과목도 회독을 하다가 실패했다. 시간이 부족했다.
  5. 주요 출제 개념 요약본을 구해서 2회독 했다.
  6. C와 JAVA 문법 지식을 블로그로 2차 회독 했다.
  7. 시험 당일, 아침에 기출 1회 풀이했다. (80점)
  8. 고사장에 도착해서, 수제비 네이버 카페의 DAILY 기출 문제(33개)를 모두 풀었다.

벼락치기 실기 공부법 (이대로만 하면 3일 컷)

  1. 기출 1회분 풀고 감 잡기
    1. 최신 기출 문제로 푼다. 그래야 경향이 보인다.
    2. 어차피 개념은 다 까먹었을테니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어보면서 수준 파악을 한다.
  2. C와 JAVA 문법 공부 & 모든 프로그래밍 기출 풀이
    1. https://url.kr/v89lwc
    2. 정보처리기사/정처기 코딩 꿀팁 카테고리의 블로그 글 8개만 읽자. 쉽고 짧다.
  3. 주요 개념 요약본 1회독 `여기까지 DAY 1`
    1. 아래 첨부된 정보처리기사 정리본(19p)을 읽는다.
    2. 이것보다 짧은 요약본은 못 봤다.
    3. 핵심 내용의 80% 정도만 커버하는 듯하지만, 전체 개념을 파악하기에 충분하다. 어차피 60점만 넘으면 되지 않는가.
  4. 빈출 개념 추가 공부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풀이할 수 있을 정도로) `여기까지 DAY 2`
    1. 데이터베이스 & SQL
    2. OSI 7, SOLID, 디자인패턴, 테스트(블박・화박), 응집도・결합도, 보안, 메모리・디스크 스케줄링, 서브넷 마스크
  5. 막판 스퍼트 `여기까지 DAY 3`
    1. 기출 풀이
      1. 기출은 감만 잡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대충 2개년 치 6회분)
      2. 그 이유는 New 정처기를 시행한 지 오래 되지 않아, 문제의 중복을 최대한 피하기 때문.
      3. 그래도 프로그래밍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감을 잡는 데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
    2. 주요 개념 요약본 2차 회독
    3. C와 JAVA 문법 2차 회독
    4. 빈출 개념 추가 회독
  6. 기타 공부 자료
    1.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1. 비추
      2. 막판에 퀴즈 출제하는 분들이 많다. 그거 맞추면 재미는 있다. 밥 먹을 때 추천.
    2. 유료 요약본
      1. 비즈니스로 하시는 분들이 있으니 함부로 평가하지는 않겠다.
      2. 그러나 그런 것 없이도 충분히 합격할 수도 있다.
      3. 꼭 필요하다면 시나공 필기 요약본(116p, https://url.kr/mwnixg)으로도 충분하다.
        + 25년도 시나공 필기 요약본 추가(https://www.sinagong.co.kr/pds/001001001/summaries/43/download/66)
    3. 퀴즐렛
      1. 비추
      2. 단순 암기에는 좋다.
      3. 그러나 시험이 단순 암기에서 점점 멀어지는 추세이다.
    4. 흥달쌤 유튜브
      1. 나는 안 봤다.
      2. 프로그래밍 문제가 이해되지 않을 때 한 문제씩 검색해서 보는 것은 괜찮겠다.
        1. 그러나 이것도 혼자 힘으로 풀 수 없으면 시험장 가서 못 푼다.
      3. 개념 설명을 듣는 것은 글쎄 ...
    5. 수제비 카페 DAILY 문제
      1. 추천
      2. 문제의 퀄리티가 좋다.
      3. 빠르게 볼 수 있다. 필자는 시험 당일 고사장에서 15분 동안 한 달 치 다 봤다.

 

마치며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프로그래밍만 잘 이해하면 합격이다.

한 번 볼 때 집중하면 평생 가는 자격증이다. 꼭 따자.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본.pdf
5.58MB

 

해당 정리본은 한 블로그에서 발견한 것인데 원글을 찾지 못 했다.

혹시나 출처를 알고 계신 분이 있다면 꼭 댓글로 남겨주세요.

SEO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조회수가 가장 높을 만한 제목을 도출했다.

 

0. 필기 합격

24.03.13일자로 정처기 필기를 합격했다.

수제비 필기 교재 1권, 2권을 구매하여 정면 돌파를 했다.

당시 컴퓨터 전공 지식에 대한 갈증도 있었어서 나름 즐겁게 공부했다.

 

하루에 4~5시간씩 2주 정도 투자하여, 2회독을 했다.

교재에 나온 개념을 모두 읽어보고, 외우려고 시도는 해보고, 문제는 다 풀어봤다.

평균 점수는 90점이었다.

 

1. 실기 전까지

개발자 직군 취준을 열심히 했다.

다수의 알고리즘 문제를 풀이하고, CS 개념을 정리했다.

 

그러나 정처기 알고리즘 과목의 언어는 C, JAVA가 대부분이고,

CS 과목 또한 방대한 영역에서 출제되는 장학 퀴즈 식이라는 점에서 취준 자체가 실기 공부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2. 실기 D-6

04.27 토요일이 시험이다.

정신 없이 코딩 테스트를 응시하고, 꿀잠 자고 일어나니 시간이 이렇게 되었다.

시험 당일은 9시까지 시험장에 가야하니 없는 날이다.

 

일, 월, 화, 수, 목, 금

이렇게 6일이 남은 셈이다.

 

화요일은 약속이 있다.

일, 월, 수, 목, 금

 

나의 현재 상태는 다음과 같다.

 

각종 필기 개념: 2달 전에 공부하여 어렴풋.

문법 (Python, Swift): 기초 탄탄.

문법 (C, JAVA): 기초를 쌓아본 적도 없음. 

알고리즘: 당장 어제도 코테를 응시하여 예리하게 날이 서있음.

SQL: WHERE과 HAVING이 헷갈리는 수준.

 

정처기 실기의 합격 커트라인은 60점이다.

대략 50점 정도는 프로그래밍(8)과 SQL(2)에서 출제된다고 한다.

프로그래밍의 언어는 C(1), JAVA(6), Python(1) 정도의 비중이라고 한다.

 

비상이다.

공부 계획을 세워보자.

 

 

3. 벼락치기 전략

전략

프로그래밍과 SQL을 모두 맞힌다. (50 / 50)

개념을 잘 찍는다. (10 ~ 15 / 50)

 

60 ~ 65점으로 합격.

훌륭한 전략이다.

 

 

프로그래밍

출력 결과

대부분 코드를 제공하고 출력 결과값을 묻는 문제가 많다. (80% 정도)

 

오히려 낫다.

기본적인 조건문 / 반복문 / 변수 정도의 문법을 파악하면 풀 수 있다.

C에서는 포인터, JAVA에서는 static의 쓰임 정도를 추가적으로 익혀야겠다.

 

빈칸 채우기 or 문법

둘다 문법을 묻는 유형이다. (20% 정도)

 

나에게는 불리하다.

C와 JAVA 문법을 전혀 모른다.

이부분은 온라인 자료와 인강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C 문법: https://complainrevolutionist.tistory.com/132

JAVA 문법(3 ~ 4장만): https://wikidocs.net/217

문법 문제 Q&A: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iy99c_7ZfqltThMJgw0W-l8w4yn75zL

 

 

SQL

SQL 쿼리 작성 & 출력 결과

작성된 쿼리를 보고 출력 결과를 작성하거나, 그 역을 수행하면 되는 무난한 유형이다. (90%)

 

아주 복잡한 JOIN 여러 개를 사용하는 쿼리보다는, 기본적인 DML,DDL, DCL 중심으로 나오는 듯하다.

SQL 문법을 한 번 더 공부하고, 기출 문제 중심으로 풀이하면 되겠다.

 

SQL 문법 & 개념

나에게는 불리한 유형이다. (10%)

 

쿼리문에 빈 칸 뚫고 문법 물어보기.

카디널리티의 개념 등을 묻는다.

 

시간을 투자하지는 말자.

문법 개념 한 번 읽고, 기출 푸는 것 정도로만 하자.

 

SQL 문법: https://velog.io/@ocy7111/정처기-실기-암기7.-SQL-응용

 

 

개념

단답형

주로 영문, 가끔 국문으로 개념어를 단답으로 작성하는 유형이 대부분이다. (95%)

영문 풀네임을 외워야 하므로 까다롭다.

 

정처기 필기 교재를 2회독 정도 하자.

그리고 기출을 풀고, 오답 개념은 모아두고 외우자.

 

주요 과목:

운영체제 + 네트워크 > 보안 >>> 나머지

 

논술형

특정 개념에 대하여 국문으로 서술하는 유형이다. (5%)

 

과거에는 조금 나왔으나 최근에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깔끔하게 버리자.

 

 

4. 계획

날짜: 일, 월, 수, 목, 금

시간: 하루에 8시간

교재: 수제비 FINAL 모의고사, 수제비 필기 개념서

자료: 유튜브(흥달쌤), 온라인 자료, 수제비 데일리 예상 문제

 

매일: 수제비 데일리 예상 문제 5문제씩

 

일: C, JAVA, SQL 문법 공부

월: 필기 개념서 (1회독 1/2) + 23년 기출

수: 필기 개념서 (1회독 2/2) + 22년 기출

목: 필기 개념서 (2회독) + 21년 기출

금: 20년 기출 + 4개념 기출 오답 풀이 + 모의고사 풀이

 

토(시험): 개념어 정리본

 

프로그래밍 문법 막힐 때는?

흥달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iy99c_7ZfqltThMJgw0W-l8w4yn75zL

 

참고할 만한 자료는?

학습 전략: https://velog.io/@soojxng/2023-정보처리기사-3회-실기-합격후기-및-공부방법-전공자

예상 문제: https://complainrevolutionist.tistory.com/83

개념: https://velog.io/@ocy7111/비공개정처기-실기-암기

 

 

 

 

 

+ Recent posts